아시아뉴스통신

뉴스홈 전체기사 정치 산업ㆍ경제 사회 국제
스포츠 전국 연예·문화 종교 인터뷰 TV

인천사서원, 장애인 자립 지원 시범사업 본격 시작 장애인 지원주택 20호 추가 개소

  • [인천=아시아뉴스통신] 양행복 기자
  • 송고시간 2022-05-23 09:04
  • 뉴스홈 > 사회/사건/사고
거주시설과 협력, 자립 희망 장애인 발굴
자립지원사 5명 채용 예정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 권성식 팀장이 최근 열린 장애인 거주시설 시설장 간담회에서 ‘장애인 지역사회-자립지원 시범사업’ 개요를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인천시청

[아시아뉴스통신=양행복 기자] 인천시가 장애인 자립 지역으로 가는 첫발을 내딛는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원장·유해숙) 인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이하 주거전환센터)는 인천시와 함께‘장애인 지역사회-자립지원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것으로 인천시는 지난 3월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됐다.

 
사업을 수행하는 주거전환센터는 입주 장애인 발굴과 사례관리, 자립지원사 모집·운영 등을 맡는다. 올해 관련 예산은 4억3천만원이다.
 
주거센터는 먼저 자립을 희망하는 장애인 20명을 모집한다. 자립형 18명, 집중지원형 2명이다. 자립형은 지역사회 서비스와 자원연계가 필요한 장애인을 말하고 집중지원형은 도전적 행동이나 지속적 질환 관리 등 집중지원을 해야하는 유형이다. 지역 내 장애인 거주시설, 재가 장애인 대상 자립욕구조사를 실시하고 시범사업 설명회를 열어 자립을 원하는 이들을 찾는다.
 
장애인 지역사회-자립지원 시범사업’설명회에 참석한 장애인 거주시설 시설장들이 세부 사업 내용을 듣고 있다./사진제공=인천시청

이렇게 자립한 장애인은 인천시와 LH인천본부가 마련한 장애인 지원주택에 입주한다. 지원주택은 시가 행·재정적 지원을, LH인천본부가 공급을, 주거전환센터가 운영을 맡는다. 거주기간 제한 없이 일정 비용을 부담하면 계속 살 수 있다. 자립 장애인 증가에 맞춰 점차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올해는 중구 신흥동과 미추홀구 문학동 등 두 곳에 각각 10호씩 모두 20호를 확충한다. 특히 문학동 지원주택은 ‘장벽 없는 건축 설계’ 배리어프리 공간으로 마련한다. 이를 위해 LH 인천본부와 주거전환센터, 장애인 당사자, 거주시설 관계자 등이 설계 과정에 참여했다. 입주자들이 이웃과 교류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도 확보한다.
 
이어 다음 달 중 시범사업 전담인력을 뽑는다. 모집 인원은 5명이다. 전담인력 1명이 자립장애인 4명을 맡아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적응하도록 돕는다.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택계약, 이사지원 등 전환 과정을 같이 하고 공과금 납부, 지원금 신청, 장보기 등 생활 속에서 부딪히는 어려움을 해결하도록 돕는다.
 
여기에 시는 시·군·구 자립지원 네트워크를 구성해 자립지원 모델 개발에 나서고 주거전환센터는 군·구네트워크와 협업해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또 자립 장애인에게는 주거환경 개선 비용, 보조기기 구매 비용, 건강검진비 등을 지원한다. 장애인활동지원 시간도 추가한다. 자립형은 월 10~20시간, 집중지원형은 월 150시간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올해만 살림살이 장만 비용과 입주청소비용 등을 지원한다.
 
장애인복지관, 병원, 장애인평생교육센터, 직업재활시설 등 지역 자원과 연계해 원활한 자립 생활이 가능하도록 한다.
 
앞서 지난 17일 주거전환센터와 인천시는 장애인 거주시설 시설장 20여 명과 간담회를 열었다. 시범사업 내용을 설명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이날 한 거주시설 시설장은 “이번 시범사업이 끝난 뒤에도 자립장애인 지원은 계속하는가”라고 질문했고 이어 다른 시설장은 “장애인 시설을 아무리 개방해도 시민들이 오지 않는다. 장애인을 거부하지 않고 같이 살아갈 수 있는 사회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는 25일에는 인천시청에서 10개 군·구 장애인 자립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시범사업 설명회를 연다.
 
정재원 인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 센터장은 “장애인 지원주택은 지금까지와 달리‘방’이 아니라 ‘현관문’이 생기는 일이다. 사생활을 보호하는 나만의 공간을 지원한다”며 “시범사업 기간은 장애인 자립 지원 정책이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효과는 무엇인지, 수정할 부분은 어떤 것인지 찾고 다듬어가는 시간이다”고 말했다.
 
yanghb1117@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