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도청 전경./아시아뉴스통신 DB |
[아시아뉴스통신=장희연 기자] 경상남도보건환경연구원(원장 윤조희)은 도내 35개 국가 하천수질측정망을 운영하며, 최근 5년간(2020~2024) 하천 수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환경부에서 고시하는 중권역별 물환경 목표수질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기준 달성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BOD 기준 달성률은 ('20년) 70.5% → ('21년) 77.6% → ('22~'23년) 79.7% → ('24년) 84.2%로 꾸준히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경남도의 적극적인 수질 관리 정책과 환경 개선 노력이 반영된 결과로 평가된다.
한편, 총인(TP)의 목표수질기준 달성률은 '20년 63.1%로 '24년에도 64.2%로 1.1% 상승하는 데 그쳤으며, BOD 대비 20% 이상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하천 내 영양염류 과잉 공급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녹조 발생 억제를 위한 영양염류 저감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2024년도 수질측정망 운영 결과, 각 하천의 연평균 BOD 농도는 85.3%가 생활환경 기준 ‘매우 좋음’(1a등급) 또는 ‘좋음’(1b등급) 단계에 속하며, 총인(T-P)의 경우 67.6%가 ‘좋음’ 또는 ‘매우 좋음’으로 조사되었다.
도내 및 전국의 하천수질측정망 운영결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변종환 물환경연구부장은 “하천 수질 전반이 개선되고 있지만, 지속적인 수질 모니터링과 정확한 수질 자료 제공을 통해 도민들에게 깨끗한 하천 수질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gywhqh15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