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뉴스통신

뉴스홈 전체기사 정치 산업ㆍ경제 사회 국제
스포츠 전국 연예·문화 종교 인터뷰 TV

대구 지역 제조기업 4곳 중 1곳만 디지털 전환 추진

  • [대구경북=아시아뉴스통신] 윤석원 기자
  • 송고시간 2025-04-16 14:50
  • 뉴스홈 > 산업/경제/기업
대구상의, 지역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DX) 실태 및 애로사항 조사
지역 중소기업 다품종 소량 생산 많아 디지털 전환에 구조적 한계
디지털 전환 가능성에 대한 기업별 분석 선행돼야
대구 지역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DX) 추진 여부.(자료제공=대구상공회의소)

[아시아뉴스통신=윤석원 기자] 대구상공회의소(회장 박윤경)는 기업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에 대한 지역 제조기업 실태와 애로사항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지역 제조기업 4곳 중 1곳만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매출액이 클수록 디지털 전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매출액 1000억원 이상 기업의 경우 응답기업의 70%가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반면, 1000억원 미만 기업은 18.8%만이 추진하고 있어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지 않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업종 특성상 디지털 전환이 어렵다'라는 응답이 56.7%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비용 부담이 너무 크다'(41.8%), '전문 인력 부족'(26.9%), '디지털 전환 후 효과가 불확실하다'(23.1%) 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은 '도입 단계'가 62.8%로 가장 많았고, '초기 단계'는 27.9%, '확산 단계'는 9.3%로 나타났으며, 아직 '고도화 단계'에 이른 기업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전환 분야(복수응답)는 제조·생산이 83.7%로 가장 가장 많았고, 이어서 재무·회계(44.2%), 물류·유통(14.0%) 순으로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목적(복수응답)으로 대부분(95.3%)의 기업이 '업무 효율성 향상'을 꼽았고, 이어서 '생산성 증가'(58.1%), '비용 절감'(14.0%) 순으로 응답했다.

디지털 전환 추진 시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높은 초기 투자 비용'이 72.1%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 문제'(48.8%), '기술적 역량 부족'(44.2%)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의 지원 필요사항(복수응답)으로는 '디지털 전환을 위한 지원금 및 보조금'이 83.3%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디지털 전환 컨설팅 지원'(29.6%), '금융·세제 지원'(25.3%), '기존 시스템과 신기술 간 연계 및 통합 솔류션 지원'(23.5%)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길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디지털 전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 가능성에 대한 기업별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 이를 토대로 개별 기업에 맞는 맞춤형 지원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seok193@daum.net